-
도시재생 연구개발 사업은
국토해양부 VC(Value Creator)-10 사업의 하나로 정책, 제도, 건설기술, 환경기술 등
종합적인 면에서 선진국의 약 40% 수준으로 인식되는 우리나라 도시재생 역량을
선진국 수준으로 고양시키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도시재생 연구개발 사업은 국토해양부 VC(Value Creator)-10 사업의 하나로 정책, 제도, 건설기술, 환경기술 등 종합적인 면에서 선진국의 약 40% 수준으로 인식되는 우리나라 도시재생 역량을 선진국 수준으로 고양시키는 것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선진국은 구산업의 사양화에 따른 실업의 증가, 생산, 유통시설의 유휴화 등 쇠퇴한 지역의 경제와 생활환경을 되살리는 도시재생을 일찍부터 추진해 왔습니다. 최근에는 국제적 차원의 도시간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도시경쟁력 강화, 도시 이미지 제고를 위해 도시의 물리.환경적, 사회.문화적 및 행정적 인프라의 ‘질’을 높이는 도시재생을 경쟁적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도시재생사업은 쇠퇴, 낙후된 도시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재활성화와 물리적 정비를 통합적으로 추구하는 사업으로, 쇠퇴도시 유형별 재생기법 및 지원 체제 개발, 사회통합적 주거공동체 재생기술 개발, 구도심 복합용도공간 재생기술 개발, 도시시스템 녹색재생 기술개발 등 인문 사회과학적 과제와 공학, 기술적 과제를 같이 포함하여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한국형 도시재생 패러다임 설정 및 국가 중장기 전략수립, 도시재생 역량강화, 도시재생사업의 파급효과 및 성과분석, 테스트베드 실행 및 실용화 방안 등 핵심과제를 지원하고 종합하는 총괄과제를 사업단이 직접 수행합니다.
저희 사업단은 우리나라가 이제 신개발 시대를 마무리하고 기존도시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적 삶의 질을 높이는 도시재생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길임을 인식하여,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합니다.지금까지의 건설교통은 단기성과에 치중한 기술정책 및 기술개발 통합성 및 전략 부재였고,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으로 지속가능한 발전 국토시스템 혁신과,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고부가 가치 산업화 및 미래 신성장동력 창출을 추진하고, 미래의 건설 교통인 미래사회 삶에 질 향상을 위한 'Value Creator'을 실현하기 위해 도시재생 사업단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도시재생사업의 비전 및 목표
삶의질 향상과 도시경쟁력 확보
G7 국가수준의 도시경쟁력 확보를 위한 도시재생시스템 구축
- 도시재생 국가중장기 정책 및 전략수집
- 선진수준 도시재생 기술력 확보
- 도시재생 사업의 효율화
-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구축
- 지속가능 주거공동체 형성
- 도시재생역량 강화 및 실용화 추진
- 1핵심 충북대/황희연 지역공동체 자력 수복형 도시 재생 기법 개발
- 창원테스트베드 기법 적용 연구(충북대/황희연)
- 전주테스트베드 기법 적용 연구(연세대/이연숙)
- 도시시스템 녹색재생 기술 개발(카이스트/박희경)
- -녹색도시 건축물 성능향상 및 재사용 기술 개발(건설 기술연구원/유영찬)
- -도시환경시스템 녹색재생 기술 개발(카이스트/박희경)
- -도시재생사업지구의 탄소배출평가 체계구축 및 녹색재생기술 개발(청주대/김영환)
- 2핵심 서울시립대/현창택 도시재생 기반기술 개발
- 복합용도 도시재생기반 기술 개발(서울시립대/현창택)
-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구축(LH/양동석)
-
- 기획단계 2006. 05. 23 건설교통 R&D 혁신로드맵 확정
- 2006. 10~11 도시재생 R&D 사전 기획연구
-
1차년도
2006. 12. 29
사업단 선정 및 협약체결 (평가원 총괄기관)
제1대 임서환 단장 취임 - 2006. 10~11 도시재생 R&D 사전 기획연구
- 2007.1. 23 도시재생사업단 개소
- 2007. 2 사업단 홈페이지 운영 및 홍보 브로셔 제작 배포
- 2007. 4. 12~7. 27 상세기획연구 수행 (위원 총 67인)
- 2007. 5. 7 07 건설교통 R&D 성과포럼 국제 세미나 개최
- 2007. 7. 10 도시재생사업단 상세기획 공청회(aT센터)
-
2007. 9. 14~10. 31
핵심 주관기관 공모및 선정
(선정기관:서울시립대,연세대,서울대,KAIST) - 2007. 10 “일본의 도시재생”서적 발간
- 2007. 11. 8 핵심주관기관 협약 및 연구 착수
- 2007. 11. 9~12. 28 1차년도 연구수행 (50일)
-
2007
“도새재생 1차 (2007. 4), 2차(2007. 11)추계포럼”개최
지방 도시재생 추진 현황 발표 및 관련 공무원, 전문가 토론회
- 2차년도 2007. 12. 29~ 2008. 6. 28 2차년도 연구수행 (6개월)
-
2008. 3
한국경제TV “월요초대석”출연(사업단장)
- 한국의 도시재생 정책방향 제안 - 2008. 5. 26~5. 29 1, 2차년도 연구성과 평가
- 3차년도 2008. 6. 30~ 2009. 6. 28 3차년도 연구수행 (1년)
- 2008. 7. 30 3차년도 핵심과제 협약 및 연구수행
-
2008. 10. 29
[도시의날] 도시재생 세미나 개최
- 국내도시의 쇠퇴실태 현황 분석을 통하여 향후의 도시재생
과재와 정책방향 설정 -
2008. 11. 6
2008 국토해양부 R&D 국제 심포지엄 개최
- 지속가능한 도시재생모델(유럽의사례발표),유르겐 피치교수 - 2008. 12. 9 국토해양부 [지방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 개최
- 2009. 2. 27 제2대 김성완 단장 취임
- 2009. 2 도시재생법(가칭) 전문가 토론회
- 2009. 5. 14~6. 10 1단계(1,2,3차년도) 종합평가(사업단+평가원)
- 2009. 5. 14~6. 28 연구과제 조정
- 4차년도 2009. 6. 29~~ 2010. 4. 28 4차년도 핵심과제 협약 및 연구수행
-
2009. 8
“인천세계도시축전” 도시재생 국제컨퍼런스 개최
- 도시재생 연구성과 발표 및 국외 도시재생사례 발표 및 전문가토론
주민참여 커뮤니티재생 지원시스템 개발 현장 워크숍 개최 -
2009. 11
RTN 도시재생 프로젝트 [꿈꾸는 나의 도시]
- 도시재생 정책방향에 대한 사업단장 인터뷰 - 2010. 1 도시재생 활성화방안 세미나
-
2010. 2
도시재생 계획방안 및 재생기법 개발 세미나
도시재생 온라인 뉴스레터 UR-Brief 월 2회 발솔 (6,000명) - 2010. 2. 16~4. 19 온라인 도시재생 토크쇼 토론방 개설 및 진행
- 2010. 3. 15~3. 19 4차년도 성과 자체평가
- 2010. 4. 28 5차년도 협약체결
- 5차년도 2010. 4. 29~ 2011. 4. 28 5차년도 핵심과제 협약 및 연구수행
- 2010. 5. 17 장관주재 사업단 점검회의
- 2010. 12. 28 자력수복형 테스트베드 유치기관 선정(창원, 전주)
- 2011. 3. 22 자력수복형 테스트베드 협약
- 2011. 4. 25~4. 28 창원.전주TB 도시재생지원센터 개소
- 6차년도 2011. 4. 29~ 2012. 4. 28 6차년도 핵심과제 협약 및 연구수행
- 2011.5.24 6차년도 과제착수보고회 개최
- 2011.7.15 창원TB 주민협의체 발족 및 도시재생신문 창간기념 세미나 개최
- 2011.11.16 국토부 R&D 연구성과 활용성 제고를 위한 토론회 개최
- 2012.3.14 복합용도형 테스트베드 유치기관 선정(부산교통공사, 천안)
- 2012.4.25 도시재생 법체제 구축을 위한 전문가 토론회
- 7차년도 2012. 4. 29~ 2013. 4. 28 7차년도 핵심과제 협약 및 연구수행
- 2012.6.28 콤팩트시티 개념을 도입한 도심재생 국제 컨퍼런스
- 2012.9.13 도시쇠퇴현황 및 재생전략 세미나
- 2012.9.27 미래도시전략세미나 (국민이 원하는 도시만들기, U-City와 도시재생)
- 8차년도 2013. 4. 29~ 2014. 4. 28 8차년도 핵심과제 협약 및 연구수행
- 2013.6.24~26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주관 연구성과 점검 및 발표회
- 2013.7.11 국토교통기술페어 도시재생사업단 성과 발표
-
도시재생사업의 조직체계
도시재생사업의 조직체계도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평가원, 총괄기관(LH), 전문위원(토지주택연구원, 실무부서 겸무/24인) 도시재생사업의 조직체계도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평가원 총괄기관(LH) 전문위원(토지주택연구원, 실무부서 겸무/24인) 도시재생사업단 연구관리팀
과제관리 및 홍보테스트베드추진팀 Test Bed 1팀(창원)
Test Bed 1팀(창원)
Test Bed 1팀(복합개발)핵심과제(충북대:황희연)
지역공동체 자력수복형 도시재생기버 개발창원 테스트베드
기법적용 연구전주 테스트베드전주 테스트베드 기법적용 연구 2핵심과제(KAIST:박희경) 도시재생 기반기술 개발 복합용도 도시재생 기반기술 개발 도시시스템 녹색재생 기술재발 및 종합정보시스템 총괄과제연구팀
총괄과제연구
국토부지원과제총괄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실용화추진위원회정부기관
대학교
연구소
산업체
참여기업
가람건측 건양구조 그린산업 극동엔지니어링 기흥성 남원엔지니어링 다인그룹엔지니어링 동부건설 동양구조안전기술 동일기술공사 두산건설 드림이엔지 렉스콘 리스건측 메피스 미래세움 미래아이에스이 버추얼빌더스(주) 브릭스에셋 비케이방수기술 삼성 SDS 삼진비티 서린건축 서인ENI 성일종합건축 시공테크 신성종합(주) 쌍용건설 쎄라그린 쓰리디구조 아름드리엔지니어링 아리건축 아이스트 아이티엠코퍼레이션 우리관리 원형건측 유선엔지니어링 이가 인피니테크 정일구조기술사사무소 제이앤에스한백 (주)간삼파트너스종합건축사무소 (주)거성이엔지건축사사무소 (주)건원엔지니어링 (주)건일엔지니어링 (주)건축사사무소 광장 (주)건축사사무소 동우건축 (주)경동기술공사 (주)경진 (주)고우이엔씨 (주)구성이엔드씨 (주)나우동인건축사 (주)내외주건 (주)노아테크놀로지 (주)다산컨설턴트 (주)다올부동산신탁 (주)대림산업 (주)대양엔지니어링 (주)대우건설 (주)대혜건축 (주)도담이앤씨 (주)도시경영연구원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동부건설 (주)동부엔지니어링 (주)동아기술공사 (주)동아지질(주)동일기술공사 (주)동해종합기술공사 (주)동호 (주)두양건축 (주)드림이엔지 (주)디디알소프트 (주)리뉴시스템 (주)리튼브리지 (주)리폼시스템 (주)무영아멕스건측사사무소 (주)미래E&D (주)삼영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주)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새턴정보통신 (주)서린건축사사무소 (주)선엔지니어링 (주)선진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주)성신엔지니어링 (주)성일종합건축사사무소 (주)세익컨설턴트 (주)수성엔지니어링 (주)신동아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주)심네트 (주)아름드리엔지니어링 (주)아세테크 (주)아이티엠코퍼레이션건축사사무소 (주)엄&이종합건축사 (주)엄엔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주)에스원 (주)에치피시스템테크 (주)에코솔루션 (주)엘티에스 (주)엠와이앤씨 (주)용마엔지니어링 (주)우대칼스 (주)우림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주)유미드시스템 (주)유경기술단 (주)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주)유아컨설턴트 (주)유암E&C (주)유창 (주)유탑엔지니어건축사사무소 (주)이산 (주)이장 (주)이지스 (주)인텔리지오 (주)인토엔지니어링 도시건축사 사무소 (주)정도엔지니어링 (주)정도UIT (주)정우엔지니어링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원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주)종합건축사사무소 범건축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가람건축 (주)종합건축사사무소 근정 (주)지승구조건설 (주)지오넷 (주)지오엔티 (주)지오웍스 (주)지육팔공컨설팅그룹 (주)지티에스이엔씨 건축사사무소 (주)천일건축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주)청우종합건축사(주)케이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코아텍 (주)코텍피에스 (주)태원코퍼레이션 (주)태조엔지니어링 (주)태평양지질 (주)토문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주)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주)파이프텍코리아 (주)프리비티 (주)피데스개발 (주)피데스피엠씨 (주)피에이씨 (주)하우드엔지니어링 (주)한국건설관리공사 (주)한국건설VE연구원 (주)한국도시녹화 (주)한국해외기술공사 (주)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주)한화건설 (주)해석 (주)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 (주)현대건설 (주)현대리서치 (주)혜원까치종합건축사사무소 (주)환경바이오 (주)희림 (주)OA그룹 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주)HKCMC (주)UAS건축 (주)KMS (주)KTS엔지니어링 지에스건설 창민우구조컨설턴트 케이엠티엘 코리아카파크 콘스텍발명사무소 크로스구조연구소기술사사무소 태두건축 터담하이텍구조 토우건축 토펙엔지니어링 포스코건설 한국건설공법 한국건설신소재산업 한국철도공사 한길종합건축사 한아도시연구소 현대건설(주) 형상엔지니어링 혜원까치건축 혜전건설 환경건축 희운디앤지 c.s 구조엔지니어링 CH엔지니어링 H건축 OCS PBKorea R2Korea SH공사 Sig_A Urban Bank